신문

'농·생명 융합' '융·복합 소재부품' 특화…기업 다 들어오면 5000개 일자리
출처
조선일보
작성일
2020년 03월 18일
조회수
11641
첨부파일

'농·생명 융합' '융·복합 소재부품' 특화…기업 다 들어오면 5000개 일자리





"논과 밭이 전부였어요. 말 그대로 상전벽해입니다. 전북과 정읍의 미래 100년을 먹여 살릴 곳이 될 겁니다."

 

전북 정읍시 산정동 전북 연구개발특구. 유진섭 정읍시장은 "이곳에서 만든 첨단 과학 기술이 전북 발전은 물론 대한민국 발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했다. 전북 연구개발특구 정읍 지역엔 정부 출연 연구소와 다양한 연구기관이 모여 있다. 지난 2001년 문을 연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이하 방사연)가 대표 주자다. 방사연은 방사선 융합기술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는 기관이다. 방사선 멸균 기술을 이용해 우주에서 먹는 김치·수정과·불고기·비빔밥도 만들었다. 방사연이 가능성을 보이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전북분원, 안전성 평가연구소 전북본부가 잇따라 옮겨와 둥지를 틀었다.

 

 

현재 전북 연구개발특구에 있는 정읍 첨단과학 산업단지 분양률은 94.8%(MOU 포함). 전북도는 첨단과학 산업단지에 기업이 모두 들어오면 500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까지 300억원이 투입돼 연구기관 5, 기업 41곳이 입주했다. 26개 기업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조만간 첨단과학 산업단지 인근에 산단 99를 추가로 조성할 예정이다.

 

방사연 등 3개 정부출연 연구기관(65)이 본궤도에 오르면서, 전북도는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받기 위해 움직였다. 전주시의 탄소산업단지와 완주군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정읍의 첨단과학 산업단지를 한 데 모으면 한국을 대표하는 연구개발특구가 될 것이란 확신이 있었다.

 

하지만 연구개발특구 지정 과정은 쉽지 않았다. 지난 2010년부터 78기 끝에 얻어낸 성과였다. 전북도는 지난20103R&D역량강화 기술사업화기반 조성 연구거점화 및 벤처 생태계 조성 특화분야 혁신활동 글로벌허브 구축이라는 목표 아래 처음 연구개발특구를 신청했다. 전주시, 완주군, 익산시 등 3개 시·군 일원에 농생명 식품과 친환경 부품소재를 특화 분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정부가 제시한 요건을 채우지 못해 고배를 마셨다. 전북이 첨단 기술의 둥지라는 발상의 전환이 쉽게 먹히지 않았다.

 

전북도는 지난 2013년 재도전에 나섰다. 이번엔 첨단방사선연구소 등 정부출연 연구소가 있는 정읍을 앞세웠다. 여기에 전북 혁신도시에 있는 농업관련 국립 4대 연구기관을 포함했다. 그런데 당시 미래창조과학부의 재심사는 시작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새롭게 특구에 포함된 정읍 지역의 경우, 전주와 완주보다 지리적인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를 들었다.

 

전북도는 다시 설득에 나섰다. 정읍에 있는 3대 정부 출연 연구소의 역할과 필요성을 구체적인 자료로 증명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가 개발한 기술을 이전받아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콜마 B&H의 사례를 들었다. 끈질긴 설득 끝에 "전문 심사위원회를 열어 공개 심사를 받아보자"는 대답을 얻어냈다. 전북도는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전북이 첨단 과학 산업을 이끌 수 있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위원들은 결국 전북을 인정해줬다.

 

전주·완주·정읍 일대는 지난 2015'·생명 융합''·복합 소재 부품' 분야를 특화 산업으로 하는 전북 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됐다. 연구개발특구 지정은 2005년 대덕, 2011년 광주·대구, 2012년 부산에 이어 다섯 번째였다.

 

전북 연구개발특구는 15.9규모로 농촌진흥청과 10여개 국립 연구소와 정부 출연 연구기관, 대학 등이 자리 잡고 있다. 미래부와 전북도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완주)와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정읍)를 중심으로 융·복합 소재 부품 산업을, 농촌진흥청· 한국식품연구원(전북 혁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농·생명 융합 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연구소에서 개발된 기술을 곧바로 지역 기업에 이전, 상용화한다.

 

전북대·전주대·우석대 등 특구 인근 대학과 기업을 연계한 산학(産學) 클러스터, 주거·상업·교육 기능을 갖춘 복합 단지도 조성된다. 미래부는 특구에 매년 100억원가량을 투입,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창업보육센터 등도 지을 계획이다. 또 특구 내 연구소 기업과 첨단 기술 기업에 조세 감면 혜택도 준다.

 

전북 연구개발특구는 10개의 국립·정부 출연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다는 강점을 갖고 있다. 대전을 제외한 특구 중 가장 우수하고 집적화된 R&D기반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첨단농업, 종자, 식품, 발표 미생물, 방사선융합, 탄소소재, 인쇄전자 등 국가적 R&D기반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다른 특구와 차별화된 점이다.

 

전북도는 각종 연구개발 사업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 지난 2018년 전북 지역 정부연구 개발예산 투자액은 7238억원으로 전국 1위에 올랐다. 국가 연구개발비의 지자체 대응 투자 비율은 최근 7년간 평균 16%를 기록했다. 국가연구 개발사업 특허등록은 403건으로 전국 6위에 오르는 등 높은 과학기술투자 및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출처] : 조선일보(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17/2020031703019.html)



목록

관련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