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현황

박막 두께 및 미세형상 측정기 ( Microfigure Measuring Instrument )
사용범위 :공동활용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코팅층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최적의 시스템 구성임.
〇 CVD 및 PVD 코팅층 및 표면 거칠기를 측정에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하기 위함
〇 공인된 reference device를 사용함으로써 측정의 정확성/신뢰성을 얻을 수 있음.
〇 정밀 가공 부품의 표면 거칠기도 측정할 수 있음
〇 최대 100mm까지 스캔하여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측정을 하여 할 수 있음.
〇 뛰어난 정밀도 및 진직도를 갖추고 있어 측정에 신뢰성 및 정확성을 얻을 수 있음.
〇 고기능성 세라믹 및 금속재료의 개발에 필요한 두께 및 미세형상의 정확한 측정을 위함.
〇 탄소 소자를 이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반도체 부품의 박막 두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함.
〇 본체의 구조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방진 시스템이 필요 없음.
〇 화강암 구조는 장기간 사용 후에도 정밀도에 변함이 없음.
〇 그리하여 박막 두께 및 형상의 측정에 용이"
형광 직립 현미경 시스템 ( BX51 )
사용범위 :공동활용서비스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형광 직립 현미경은 수은램프와 할로겐 램프를 기본으로 별도의 가스레이저나 다이오드 레이저를 장착하여 2000배(최대)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장비입니다. 특정 파장의 형광, 예를들어 FITC, GFP, Rhodamin 등과 같은 Fluorchrome따라 해당 단파장레이져(Ar, HeNeGreen 등)나 수은램프를 이용하여 형광상태를 관찰할 수 있고 금속재료나 바이오재료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고온다기능 표면특성시험기 ( UMT-3 )
사용범위 :공동활용서비스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본 기기는 다종 복합소재 및 탄소 복합재료와 같은 2D 하이브리드 박막 시료 표면에 대하여 온도 변화·전기적·음향 반응적 특성 등을 인위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 표면의 물성 및 화학적 변화를 적용시킨 상태에서 마찰·마모·윤활 특성 분석이 가능함.
〇 특히 탄소복합소재의 응용분야인 항공우주·자동차와 관련하여 엔진 부품 소재, 기체 및 차체 표면 코팅 및 필름과 같은 고온화 추세의 산업에 필요한 마찰, 마모 내구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으므로 본 복합소재 연구소에서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비임.
* 재료(다종 및 탄소복합재료) 표면의 변형 조건 (압력, 온도, 전기, 음향 반응)등의 요인에 따른 마찰·마모·윤활 특성 분석이 가능함.
* 박막 수준의 코팅이나 필름 등에 대하여 1000gf 이하나 그보다 더 아래의 미소한 하중을 적용함으로써 회전 및 왕복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통한 경도 측정이 가능
동적접촉각 측정기 ( TDCAT 11EC )
사용범위 :공동활용서비스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 탄소섬유 및 섬유상 소재의 접촉각측정.
○ 탄소복합소재 부품 제작시 사용되는 탄소섬유와 다양한 레진과의 접촉각측정을 통하여 matrix내의 섬유분산 및 복합부품 공정조건 최적화를 위한 접촉각 및 표면특성분석
BET 비표면 분석기 ( BELSORP-max )
사용범위 :공동활용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활성 탄소소재는 중금속 흡착이나 이산화 탄소 흡착 수소 저장 등의 응용 연구가 세계적으로 진행 중에 있음
〇 AFSM (TM)으로 부터 높은 재현성을 바탕으로 등온 흡착을 측정"
동적광산란분석기 ( Dynamic Light Scattering )
사용범위 :공동활용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용매 내 나노입자들의 브라운 운동 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움직임의 속도차로 광원 조사에 따른 도플러 효과 발생. 이에 따른 입도광과 검출광의 차이를 이용 나노입자 크기 규명.
〇 TEM과 달리 용매 내에서의 나노입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음.
〇 용매 내에서의 외부자극에 대한 나노입자의 응답성을 in-situ로 평가하는데 있어 유일한 분석법.
〇 용매 내에서의 나노입자 표면전위 평가 및 고분자 분자운동성 분석 가능나노입자 크기 크기분포 분산성 표면전위 분석
〇 외부 자극에 따른 나노입자 변화 분석
〇 고분자 절대분자량 및 용매 내 분자운동성 분석"
전기력/자기력/터널링전압편차 분석 분광시스템
사용범위 :공동활용서비스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 팁과 시료간의 원자간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스캔하기 때문에 반도체, 광학렌즈, 디스크, 디스플레이, 필름, 금속 등 액체시료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 분석 가능함.
고온다기능 표면특성시험기 ( UMT-3 )
사용범위 :공공활용서비스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본 기기는 다종 복합소재 및 탄소 복합재료와 같은 2D 하이브리드 박막 시료 표면에 대하여 온도 변화·전기적·음향 반응적 특성 등을 인위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 표면의 물성 및 화학적 변화를 적용시킨 상태에서 마찰·마모·윤활 특성 분석이 가능함.
〇 특히 탄소복합소재의 응용분야인 항공우주·자동차와 관련하여 엔진 부품 소재, 기체 및 차체 표면 코팅 및 필름과 같은 고온화 추세의 산업에 필요한 마찰, 마모 내구 특성을 파악 할 수 있으므로 본 복합소재 연구소에서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장비임.
* 재료(다종 및 탄소복합재료) 표면의 변형 조건 (압력, 온도, 전기, 음향 반응)등의 요인에 따른 마찰·마모·윤활 특성 분석이 가능함.
* 박막 수준의 코팅이나 필름 등에 대하여 1000gf 이하나 그보다 더 아래의 미소한 하중을 적용함으로써 회전 및 왕복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통한 경도 측정이 가능
동적광산란분석기 ( Zetasizer Nano ZS )
사용범위 :공동활용서비스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〇 용매 내 나노입자들의 브라운 운동 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움직임의 속도차로 광원 조사에 따른 도플러 효과 발생. 이에 따른 입도광과 검출광의 차이를 이용 나노입자 크기 규명.
〇 TEM과 달리 용매 내에서의 나노입자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얻을 수 있음.
〇 용매 내에서의 외부자극에 대한 나노입자의 응답성을 in-situ로 평가하는데 있어 유일한 분석법.
〇 용매 내에서의 나노입자 표면전위 평가 및 고분자 분자운동성 분석 가능나노입자 크기 크기분포 분산성 표면전위 분석
〇 외부 자극에 따른 나노입자 변화 분석
〇 고분자 절대분자량 및 용매 내 분자운동성 분석
비접촉 면저항 측정기 ( 비접촉 면저항 측정기 )
사용범위 :
활용용도 및 이용분야 :
○ 탄소소재, ITO, Glass, SiC W/F type 등의 전도성 시료의 비접촉방식에 의한 표면저항 측정
○ 나노탄소소재 등 전도성 물질이 복합된 고분자 복합소재의 비접촉방식에 의한 표면저항 측정
  • 처음 목록으로 이동
  • 1
  • 2
  • 목록으로 이동

관련사이트